▲ 노동시민사회단체 회원과 국회의원들이 4일 오전 국회 본청 앞에서 전태일 열사 기일인 11월 13일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하자며, 전태일시민행동 발대식을 하고 있다. <정기훈 기자>

전태일 열사가 분신항거한 11월13일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하자는 노동계·시민사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전태일 시민행동은 4일 오전 국회 본청 계단 앞에서 발대식을 열고 ‘11월13일’ 국가기념일 지정을 촉구했다. 시민행동은 양대 노총과 전태일재단을 포함해 노동·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고 있다.

시민행동은 이후 55주기 추도식과 함께 ‘전태일정신 계승 및 국가기념일 지정에 관한 법률(가칭)’ 발의를 추진한다. 이 밖에 ‘태일이네 네트워크’를 구축해 임금체불·산업재해·불안정 노동 등의 사례를 공유하고 정부 정책까지 연계할 계획이다. L-ESG평가연구원과 협력해 불법하도급 근절에도 나선다. 작업복과 겨울옷을 나누는 이주노동자 지원 프로그램도 진행한다.

시민행동은 선언문을 통해 “전태일의 마지막 외침을 이어 노동자들은 일터와 거리에서 싸워왔지만 여전히 노동법에 보호받지 못하는 이들이 있다”며 “자신보다 더 어려운 사람들과 연대했던 전태일 정신을 국가가 기념해 일상의 문화로 자리 잡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민행동은 “국가기념일 지정을 통해 분절된 노동운동의 더 큰 단결과 구심점을 확보하자”며 “올해가 전태일 분신항거 55주기인 만큼 전태일 정신을 제도화할 중요한 전환점”이라고 강조했다.

박승흡 전태일재단 이사장은 “11월13일을 전태일과 모든 일하는 사람의 날로 지정하자는 우리의 요구는 시대적 요청”이라며 “국가기념일이 된다면 아이들은 전태일을 배우고 시민은 노동의 의미를 되새기며, 사회는 일하는 사람을 존중하는 포용 국가로 우뚝 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용준 기자 go@labortoday.co.kr산업을 따라 노동 현장을 전합니다.